과거 경제학자들은 기업의 경영가치 판단은 그 기업이 얼마나 이익을 많이 만드는 가를 기준으로 삼아왔다.
현재에 이르러 그 개념이 바뀌기 시작했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업의 비재무적 가치를 우리는 기업의 윤리의식 정도로 판단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오랜 기간 기업의 목적은 이윤 그 자체에 있다고 여겨왔고 지금도 많은 투자자들은 기업가치 판단을 재무구조를 최우선으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ESG 기업경영 필요성 대두
세상은 점차 글로벌 경영 업계 모두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이윤만이 아닌 ESG를 실천할 것을 요구받게 된다.
이같은 개념이 강력하게 대두된 가장 큰 이유로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피해와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사회적 불안요소에 대한 대안 필요성 때문이다.
기업경영은 단순한 이윤이 아니라 환경 (Environment)을 생각하고 사회(Social)를 해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되며 주주들을 우선한 지배구조(Governance)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2004년 유엔 글로벌 콤팩트 보고서에서 공식 용어로 처음 등장하며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것을 주도한 인물이 바로 7대 유엔 사무총장 코피아난으로 그는 ESG를 고려한 글로벌 투자 운동을 주도해 훗날 기업의 지속 가능 운동에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
ESG에 대한 의식변화
많은 사람들에게서 서서히 의식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기업이 얻은 이익을 개인과 그 가족에게 나누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환원하고 공유해야 한다는 의식이다.
이 같은 의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과를 위해서 ESG는 형식적이 아닌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평가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이윤추구의 성장 중심 경영에서 사회적, 환경적 책임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경영으로 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기 시작한 것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주식 시장에서부터 구분될 만큼 구체적으로 평가받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우 ESG 부문 상위 20%에 해당하는 기업 주식은 변동성 장세에서 일반 기업과 비교해 5% 포인트 이상 높은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트렌드는 세계 경제 포럼에서도 선언한 것처럼 기업은 이해관계자 모두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체계를 갖춰야 성장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국내 기업 SK텔레콤 선두
국내 기업 중 최초로 SK텔레콤은 운영 전반에 걸쳐 ESG를 기업 패러다임으로 설정하고 ESG 관련 전담 부서 및 이사회 산하 ESG 위원회까지 신설했다.
이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대두되어온 탄소배출권에 대해 인정하고 친환경 분야 개선과 중증 장애인 출퇴근 지원을 위한 착한 셔틀을 운영하였다.
그 외에도 코로나 백신 개선을 위한 누구 케어콜 등 인공지능 개발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사회적 기업 발굴과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ESG경영을 실천했다.
한국기업 지배구조원이 발표한 2020 상장기업 ESG 평가 및 등급에서 SK텔레콤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통합 등급 A+를 기록하기도 했다..
SK텔레콤이 국내 기업 가운데서도 ESG 분야에서 인정받는 가장 큰 이유는 2004년 처음 시작되었으며 지난 17년간 누구보다 앞서 꾸준히 실천한 이유이다.
국내 기업의 참여도 높아져
기후변화에 따른 예측이 불가능해지는 미래 환경에 대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많은 국내 기업들이 저마다의 ESG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부분들이 눈에 띄게 많아진 점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미래를 향한 ESG 가치를 혁신적으로 실현하는 기업,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국가 경쟁력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보상 판매로 신제품 싸게 구입하는 방법 (0) | 2022.06.22 |
---|---|
휴대폰 배터리 충전 잘못하면 수명 빨리 단축된다. (0) | 2022.06.21 |
부모님께 알려드리면 편리한 핸드폰 기능들 (1) | 2022.06.17 |
드론, 전기차 의료기기 등 신산업 희소식 규제 완화된다. (0) | 2022.06.14 |
핸드폰 검색 기록 5초 만에 삭제 (0) | 2022.06.09 |